타고서비스 안내
- TAGO 서비스 개요
- 국가대중교통정보센터 정보 제공 현황
- TAGO 서비스 현황
-
국가대중교통정보센터(TAGO) 소개
- TAGO (Transport Advice On Going anywhere)
- - 국가대중교통정보센터는 국민들의 보다 편리한 대중교통이용을 위해 다양한 대중교통정보를 연계하여 공동 활용 체계 및 OPEN API 서비스를 통해 전국의 대중교통정보를 제공하는 서비스입니다.
- 국가대중교통정보센터
- - 국가통합교통체계효율화법 제90조 제4항 및 동법 시행령 제82조 제6항의 규정에 의거 전국단위의 고속·시외·시내버스, 마을버스, 항공, 철도, 해운, 지하철 등 전국 대중교통정보의 안정적인 연계·통합·제공을 목적으로 대중교통정보의 표준화 기반시스템 운영관리 및 대중교통정보의 상시운영을 효율적으로 수행하는 전담기관입니다.
-
TAGO 연계 현황
TAGO 연계 현황 교통수단 구분 대상지역(기관) 연계기관 비고 정적
정보실시간
정보버스 시내(BIS) - BIS구축 지자체(116개)
* BIS 미구축 지자체 : 46개107개
(일부노선
포함)74개
(일부노선
포함)노선경로, 정류장, 첫, 막차정보,
실시간버스 도착정보 등고속 - 전국고속버스운송사업조합
- 전국여객자동차터미널사업자협회2개 1개 버스등급별 출·도착시간, 운임, 잔여석 정보 시외 - 전국여객자동차터미널사업자협회
- 전국버스운송사업조합- - *연계 추진예정(운행노선, 시간, 운임정보) 공항버스 - 인천 국제 공항 공사 1개 - 노선경로, 정류장, 첫, 막차정보 철도 KTX/
일반철도- 한국철도공사 1개 - 출도착지 시간, 운임, 잔여석 정보 등 도시철도 - 서울, 인천, 대전, 대구, 광주, 부산,공항철도 7개 - 노선, 역, 요금, 부가시설 정보 항공 - 서울지방공청 1개 - 항공편, 출도착시간, 운임, 잔여석 정보 해운 - 한국해운조합 1개 - 운행시간, 출도착시간, 운임정보
버스정보시스템(BIS) 연계 현황 (2019년 1월 기준)
버스정보시스템(BIS) 연계 현황 구분 도시명 정적정보 100개 서울, 부산, 대구, 인천, 광주, 대전, 계룡, 울산, 세종, (고양, 광명, 광주, 구리, 김포, 남양주, 동두천,
부천, 성남, 수원, 시흥, 안산, 안양, 양주, 오산, 용인, 의정부, 이천, 평택, 포천, 화성, 가평, 군포, 안성,
양평, 여주, 연천, 의왕, 파주, 하남, 과천), 춘천, 원주, 횡성, 홍천, 청주, 천안, 아산, 전주, 군산, 여수,
순천, 광양, 포항, 구미, 경산, 창원, 진주, 통영, 김해, 밀양, 거제, 양산, 제주(제주,서귀포) 목포, 무안,
신안, 영암, 김천, 칠곡, 함평, 서산, 경주, 동해, 태백, 속초, 삼척, 영월, 평창, 정선, 철원, 화천, 양구,
인제, 고성, 양양, 강릉, 강진, 영광, 정읍, 익산, 임실, 순창, 영주, 논산, 부여, 무주, 진안, 장수, 공주실시간정보 67개 대구, 인천, 광주, 대전, 계룡, 울산, 세종, 제주(제주,서귀포), 춘천, 원주, 횡성, 포항, 경산, 밀양, 양산,
김해, 창원, 진주, 거제, 통영, 순천, 광양, 여수, 군산, 전주, 아산, 천안, 청주, 목포, 무안, 신안, 영암,
김천, 구미, 칠곡, 함평, 서산, 경주, 동해, 태백, 속초, 삼척, 영월, 평창, 정선, 철원, 화천, 양구, 인제,
고성, 양양, 강릉, 홍천, 강진, 영광, 정읍, 익산, 임실, 순창, 영주, 논산, 부여, 무주, 진안, 장수, 공주광역노선연계 7개 증평(청주광역), 진천(청주광역), 나주(광주광역), 담양(광주광역), 장성(광주광역),
화순(광주광역), 보성(순천광역)미연계 9개 영양, 사천, 보령, 제천, 충주, 남원, 봉화, 옥천, 보은 -
대중교통정보센터(TAGO) 서비스 현황
- 공동활용체계 서비스
- - 목적 : 버스, 지하철 등 모든 대중교통 정보수집은 대중교통정보센터(TAGO)가 전담하고, 이용자 서비스는 인터넷 포털 등이 맡는역할분담 체계로 전환
- - 이용방법
- OPEN API 서비스
- - 목적 :공공정보 개방 · 공유 확대를 통한 공공정보의 개방 · 활용에 대한 사회적 요구 충족 및 민·관 협력 강화
- - 이용방법
- 공공데이터포털(www.data.go.kr)에서 서비스 신청 및 활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