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전기준 국제조화
국가별 상이한 안전기준에 따른 자동차 개발비용 증가 및 국제교역 장애요인 해소를 필요성에 대한 국제적 공감대가 형성됨에 따라
한국교통안전공단은 안전기준 국제화를 추진함으로써 우리나라 자동차산업의 국제 경쟁력 제고에 힘쓰고 있습니다.
자동차 안전기준 국제화를 위한 활발한 정보 공유를 위해 국가 간 협력체계를 구축함으로써 글로벌 안전기준 선도를 위한 노력에
박차를 가하고 있습니다.
안전기준 국제조화 체계
-
자동차 안전기준 국제조화
-
자동차 안전기준 조화를 위한 세계포럼(WP29)
-
- 1958 협정
- (UN 규정)
- 1998 협정
- (UN GTR, 세계기술규정)
-
-
- 기타활동
-
- 기준관련 국제기구 활동참가 (APEC 교통실무회의 자동차기준조화 분과,
JASIC 아시아 정부-업계 국제자동차 회의 등) - 국가간 협력체계 구축(미국, 일본, 중국, 호주 등)
- FTA, WTO활동 (자동차 안전기준 관련)
- 기준관련 국제기구 활동참가 (APEC 교통실무회의 자동차기준조화 분과,
-
안전기준 국제조화 추진 체계
-
안전기준 국제 동향
파악 및
대응방안 수립 -
안전기준 국제조화
대상 항목 선정 및
기준 연구 -
UN/ECE/WP29
회의 참석 및
아국 의견 반영 -
국제기준 반영 및
국내기준 제·개정
안전기준 국제활동
우리나라는 국내 자동차 안전기준 국제조화를 위하여 2003년부터 "자동차안전기준 국제조화 사업"을 수행하고 있으며 유엔규정 제·개정, 세계기술규정제정, 안전기준 상호인증 등 국제조화 활동에 적극 참여하고 있습니다.
- 국제협력에 관한 더 많은 자료는 국제활동 지식자료실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
- 담당처장 : 이현우 전화번호031) 630-5800
- 담당부서 : 안전기준국제화센터
-
- 담 당 자 : 정내영 차장 전화번호031) 630-5816 메일na8zajoa@kotsa.or.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