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광역버스정보시스템(Bus Information System, BIS)은 자체 구축 및 운용이 어려운 중소도시 지자체의 버스 이용자 교통복지 증진을 위해 공단에서 운영하고 있는 BIS통합센터 체계를 활용하여 이용자에게 정류소의 버스도착 정보, 차량내 행선지 안내 등의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입니다.
법적근거
- 국가통합교통체계효율화법 제77조(교통체계지능화사업의 시행)
- 국가통합교통체계효율화법 제78조(교통체계지능화사업 시행치침)
BIS 서비스 체계


- 운영관리
-
- 운수업체
- 지자체
- 유지관리
- 통합 BIS 센터
-
- 상황실 운영 : 관제 및 통제 가공
- CLOUD BIT 정보 : 실시간 정보가공 및 정보 제공
- 정보 연계
-
- eTAS 운행기록분석시스템, TAGO : 지자체, BIS, 포털사, 공공데이터포털
- 광역버스에서 DTG, BIS 버스 정보, 운행이력(실시간) 통합BIS 센터로 전송
- 광역버스에서 APC 승하차 인원정보 통합BIS 센터로 전송
- 버스정보안내기에서 통합BIS 센터로 장비상태정보 전송
- 통합 BIS센터→운영관리로 버스정보(실시간, 이력), 운영관리, 장비 상대정보 민원정보 전송
- 통합 BIS센터→정보연계시스템으로 DTG수집정보, BIT정보 전송
- 정보연계시스템→통합BIS센터로 11대 운행위반 통계정보 전송
- 통합 BIS센터에서 노선안내기, 홈페이지, 모바일 웹, Cloud BIT로 버스정보(실시간), 혼잡도 정보 전송
- BIS 통합센터는 서버 가상화 및 클라우드 기술을 도입하여 구축 및 유지보수비용을 절감하였고, 운행기록데이터(Digital Tachograph, DTG)와 버스운행정보 통합 수집을 통해 버스안전관리체계를 마련했습니다.
- 또한 자동승객계수장치(Automatic Passenger Counter, APC)를 설치한 지자체의 경우 차내혼잡도 정보를 같이 제공하고 있습니다.
BIS 정보 활용분야

대중교통현황조사

지자체 민원 대응

버스운행관리

민간 서비스 개발
※보유정보 : 버스노선, 버스정류장, 버스시간표, 버스 유형 및 버스운행정보 등
광역 BIS 서비스 현황
구축년도 | 참여 지자체(56개 지자체) |
---|---|
2016년 | 동해, 태백, 영월, 철원, 양구, 양양, 영광 |
2017년 | 영주, 논산, 익산, 정읍, 임실, 순창, 홍천, 부여, 진안, 장수 |
2018년 | 음성, 진천, 단양, 고흥, 부안 |
2019년 | 당진, 상주, 고창, 영동, 무주 |
2020년 | 거창, 고성(경남), 산청, 의령, 창녕, 하동, 함안, 함양, 합천, 남해, 통영, 울릉, 고령, 군위, 문경, 봉화, 청도, 의성, 구례, 김제, 해남, 괴산 |
2021년 | 울진, 성주, 진도 |
2022년 | 장흥, 장성, 완도, 신안 |